KONKUK UNIVERSITY MAGAZINE VOL.165
효율적인 문서 검색의 새로운 기준,
파인디(Findy)
안우석(컴퓨터공학 18)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IT 박람회인 ‘CES 2025’가 개최됐다.
건국대에서는 교내 3개
스타트업이 ‘CES 2025 서울통합관’에 참가했다.
그중 파인디(Findy)는 AI 기반 의미 검색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문서 검색 소프트웨어를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았다.
이번 CES 참가를 통해 협업 기회를 모색한 파인디의
대표 안우석(컴퓨터공학 18) 학생을 만나 현장 경험과 창업 과정,
그리고 앞으로의 비전에 대해 이야기 나눴다.
파인디
설립일: 2024년 6월
주요사업: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운영)
- 학생창업유망팀 300+ 성장트랙 선정
- Global Innovation Festa 대학생 창업 아이디어 경진대회 과기정통부장관상
- 건국대학교 생애최초 청년창업 지원사업 최우수졸업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IT 박람회인 ‘CES 2025’가 개최됐다. 건국대에서는 교내 3개 스타트업이 ‘CES 2025 서울통합관’에 참가했다. 그중 파인디(Findy)는 AI 기반 의미 검색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문서 검색 소프트웨어를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았다. 이번 CES 참가를 통해 협업 기회를 모색한 파인디의 대표 안우석(컴퓨터공학 18) 학생을 만나 현장 경험과 창업 과정, 그리고 앞으로의 비전에 대해 이야기 나눴다.
지능형 소프트웨어 파인디(Findy)를 개발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파인디는 통합 문서 검색과 관리를 지원하는 지능형 소프트웨어입니다. ‘Find(찾다)’와 ‘y’를 결합한 회사명에서 알 수 있듯, 사용자가 흩어진 업무 자료를 쉽고 빠르게 찾는 데 초점을 맞췄어요. 제가 스타트업에서 개발자로 근무하면서 분산된 문서를 찾느라 시간을 낭비했던 경험이 많았습니다. 이런 비효율이 저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걸 고객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고 해결할 기술적 가능성을 고민하기 시작했어요. 마침 졸업 프로젝트로 연구했던 자동 폴더 생성 알고리즘과 제 경험을 결합해 파인디를 설계하게 되었습니다. 단순한 검색 도구를 넘어 업무 환경 전반에서 함께하는 인공지능 비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파일 관리 솔루션과 비교해 파인디만의 경쟁력은 무엇인가요?
파인디의 가장 큰 강점은 의미 기반 검색(Semantic Search) 기술을 활용해 문서의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검색어의 맥락까지 파악한다는 점이에요. 또 사용자가 별도의 학습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UI/UX로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단순 키워드 검색에서 벗어나 자연어 기반 대화형 검색 기능을 통해 질문만으로도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어요. 파일명뿐 아니라 파일 내용까지 검색해 주는 임베딩 알고리즘도 고도화해 검색 정확도를 85% 이상으로 높이고자 합니다.
개발 과정에서 가장 큰 도전은 무엇이었고 이를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문서를 임베딩하는 과정에서 예상보다 높은 비용이 발생해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창업지원본부와 멘토들의 도움을 받아 알고리즘을 효율적으로 개선했고, 불필요한 연산을 줄이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스타트업에서 기술적인 도전과 비용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으며, 팀워크와 외부 전문가의 조언이 큰 힘이 된다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이후 효율적인 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데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이번 CES 2025 서울통합관에 참가하셨는데, 학생 창업 기업으로서의 소감은 어떠셨나요?
CES 2025의 신기술 분야에 참가할 수 있어 영광이었습니다. 파인디는 Google Drive, Notion, Slack 등 글로벌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와의 연동 및 기능 제공이 강점인데, 이번에 클라우드 분야의 해외 스타트업들과 미팅하며 협업 기회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일부 기업에서는 저희 API를 개인화해서 제공해달라는 요청을 주셨는데 이런 피드백은 저희가 더욱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이 되었습니다. 글로벌 무대에서 직접 반응을 확인하고 시야를 한층 더 넓힐 수 있어서 뜻깊었습니다.
CES 2025 현장에서 인상 깊었던 기술 트렌드가 있었다면요?
CES 현장에서 클라우드 기반으로 개인화된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외 기업들이 많다는 점이 특히 인상 깊었습니다. 일본과 인도의 경우 건축 도면이나 기계 설비 도면 같은 특정 도메인에 특화된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들이 많아서 국내에서도 유사한 기회를 찾아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금은 이런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몇몇 기업들과 논의를 진행 중이며, 올해 상반기에는 시장 확장 전략을 발굴하고자 합니다.
건국대학교의 창업 지원이 파인디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2024년 건국대학교 생애최초 청년창업 지원사업에 선정된 것이 큰 힘이 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시장 요구와 제품 간의 간극을 좁히는 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창업지원본부에서 조재성 교수님과 박희승 매니저님이 목표 고객을 명확히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셨습니다. 덕분에 초기 고객 발굴에 성공했고, 고객 피드백을 반영하며 제품을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은 창업 초기 단계에서 목표 고객 설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배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파인디의 비전과 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요?
2024년에는 POC(Proof of Concept)에 집중하며 실제 기업 환경에서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서비스를 개선해 왔습니다. 앞으로는 검색 정확도를 더욱 높이고 임베딩 기술을 고도화하여 유저들이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들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더불어 기업 데이터 관리 분야에서 파인디의 입지를 확고히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