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과 학점관리등.. 학적에 관한 사항들을 알려드립니다.
※ 각 신청 기간은 학교 사정에 따라 추후 변동될 수 있음
※ 휴학생은 신청 불가, 9학기 이상 초과 학기생의 경우 등록을 하여 2023.1학기 재학생*이면 신청 가능(졸업유예생은 휴학하지
않으면 재학생임)
* 재학생 여부는 [ 학사 → 학적 → 학적관리 → 학력조회]에서 “학적상태”로 확인
취득학점포기 신청 처리 기간까지 재학생이어야 함
* 학기수는 [ 학사 → 학적 → 학적변동관리 → 휴학신청/취소]에서 “수강학기수”로 확인
편입생은 편입한 첫 학기가 5학기임
※ 다·부전공 이수 등 서울캠퍼스 수업을 수강한 글로컬 학생은
구분 | 신청 대상 | 취득학점포기 신청 대상 성적 |
신청 기간 | |
---|---|---|---|---|
2023학년도 1학기 | 2023학년도 2학기(미정) | |||
1차 | 2023.1학기 재학생중 8학기 이상 재학생 |
~ 직전학기(2022. 2학기)까지의 성적 |
2023. 3. 16.(목) 09:30 ~ 3. 17.(금) 17:00 (2일) (취득학점포기 신청처리: 3. 17.(금) 18:00 일괄처리) |
|
2차 | 2023.1학기 재학생중 3학기 이상 재학생 |
2023. 7. 6.(목) 10:30 ~ 7. 7.(금) 16:30 (2일) (취득학점포기 신청처리: 7. 7.(금) 18:00 일괄처리) |
||
3차 | 2023.8월 졸업예정자 | ~ 금학기(2023. 1학기)까지의 성적 |
2023. 7. 11.(화) 10:30 ~ 7. 12.(수) 16:30 (2일) (취득학점포기 신청처리: 7. 12.(수) 18:00 일괄처리) |
동일·유사·대체과목의 증가에 따른 중복수강 등 수강신청의 혼란을 방지하고자 기존의 재수강제도, F학점삭제제도, 폐과목삭제제도를 폐지하고 학점관리의 유연성을 제고하고자 함.
구분 | 취득학점포기 1차 | 취득학점포기 2차 | 취득학점포기 3차 | ||||||||||||||
---|---|---|---|---|---|---|---|---|---|---|---|---|---|---|---|---|---|
시기 |
정규학기 수강신청 확정 후
|
계절학기 수강신청 확정 후 정규학기 성적확정 후 정규학기 성적등재 전
|
정규학기 성적등재 후
|
||||||||||||||
대상 | 8학기* 이상 재학생 | 3학기* 이상 재학생 | 졸업예정생인 재학생 | ||||||||||||||
* 학기수는 [![]() |
|||||||||||||||||
대상 학점 |
직전학기까지의 취득학점 중 C+ 이하(N포함) 학점 ※ 현장실습(IPP) 교과목을 포함하여 C+ 이하(N포함)인 모든 교과목 신청 가능 |
신청학기를 포함한 취득학점 중 C+ 이하(N포함) 학점 |
|||||||||||||||
포기 가능 학점 수 |
설명 | ||||||||||||||||
계산식 |
※ 수강학기수는 [ ![]() ※ min(①, ②) ⇒ ①, ②중 작은 값, 음수일 경우 0 ※ 계절학기 수강은 의무가 아님 ※ 포기가능학점수는 학기 기준값임: 포기가능학점수 ≥ (1차포기학점수 + 2차포기학점수 + 3차포기학점수) |
||||||||||||||||
신청 전 체크 사항 |
★ 졸업예정생일 경우 반드시 졸업요건 확인할 것 ★ 1. 취득학점포기 교과목 선택 2. 선택한 교과목의 등급이 F/N이 아닐 경우에만 "1" 삭제 시 졸업에 문제 없도록 반드시 졸업요건 확인 - 홈페이지 → 정보광장 → 공지사항 → 학사: 졸업요건 관리를 위한 필수확인 사항 안내 참조 3. "2" 에서 졸업에 문제가 없을 때만 신청할 것 ※ 3학기~6학기 재학생도 졸업 요건 확인을 권장함 ※ 공과대학 학생 중 공학인증을 이수하는 학생들의 경우 취득학점포기 진행 전 공학교육연구소(☎ 02-2049-6104(5))에 문의 후 삭제 진행 권장 |
||||||||||||||||
신청 방법 |
[![]() ※ 단, 수의과대학 소속의 학생이 취득학점포기를 하려면 ![]() |
||||||||||||||||
신청 처리 |
각 취득학점포기 차수별(1~3차) 마지막 신청일 18시에 일괄 적용함: 18시 이후 성적증명서 반영 ※ 취득학점포기 신청 기간에는 모든 대상 학생들이 [신청 및 신청취소]를 진행하므로 기간 도중 신청처리는 불가함 |
||||||||||||||||
반영 결과 |
1. [성적증명서표기] 포기한 교과목/등급 그대로 표기: 다만 교과목명 앞에 [W] 표기 추가 ![]() 2. [성적증명서평점] 포기한 교과목은 해당학기 및 전체평점평균에서는 제외하고 계산 ![]() ※ P/N 교과목의 경우 평점평균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N을 삭제해도 평점평균은 그대로임 |
||||||||||||||||
유의 사항 |
1. 포기한 교과목은 복구가 절대 불가능하니 취득학점포기를 신중하게 신청하여야 함 2. 취득학점포기과목을 중복수강할 경우 A+ 등급 부여 안 됨: 수강신청 시 중복수강으로 표기 3. 선수강과목의 취득학점을 포기할 경우 후수강과목(선수강과목을 취득해야 수강신청 가능한 과목)은 수강신청 불가 4. 신청학기에 수강한 교과목은 삭제 불가, 단 졸업예정자에 한하여 3차에 허용 5. C+ 등급 이하만 취득학점포기 가능, F학점 포기시에도 포기가능학점수가 있어야 신청 가능 6. 취득학점 포기하고 신청처리 전에 휴학하면 취득학점포기 과목이 취소됨: 일괄처리 완료시까지 재학 상태 유지해야 함 |
구분 | 취득학점수 | 학기별/전체 평점평균 | 졸업에 필요한 최저 이수 학점 수 |
---|---|---|---|
중복과목 취득학점 미포기 시 | 중복과목 모두 포함됨* | 중복과목 모두 포함 | 한 과목의 학점수만 인정·반영 |
중복과목 취득학점 포기 시 | 포기제외 과목만 포함됨 | 포기제외 과목만 포함 |
* F/N등급은 취득을 실패했으므로 취득학점수에 0 으로 반영됨
취득기준 포기가능학점 = min
( ① (총취득학점(A) + 수강신청(취득 예정)학점(B) + 계절학기수강신청(취득 예정)학점(C)
- 학기내F/N포기학점 – (D))
, ② (E))
수강기준 포기가능학점 = min
( ① (총수강학점(X) + 수강신청(취득 예정)학점(B) + 계절학기수강신청(취득 예정)학점(C)
- 총포기완료학점(Y) – (D))
, ② (E))
총포기가능학점 = min
( 취득기준포기가능학점, 수강기준포기가능학점)
※ min(①, ②) ⇒ ①, ②중 작은 값, 음수일 경우 0
[예시] 수강신청 한도학점(E)이 17인 6학기 재학생의 취득학점포기 가능 학점 계산하기
5학기 까지 수강 학점 X |
5학기 까지 포기 학점 Y |
5학기 까지 취득 학점 A |
6학기 수강 신청 학점 (취득 예정) B |
계절 학기 수강 신청 학점 (취득 예정) C |
6학기 수료 기준 학점 D |
정규 학기 수강 신청 한도 학점 E |
취득기준 포기가능학점 min(A+B+C-D, E) 가 |
수강기준 포기가능학점 min(X+B+C -Y-D, E) 나 |
총포기 가능학점 min(가, 나) |
비고 |
---|---|---|---|---|---|---|---|---|---|---|
60 | 3 | 55* | 15 | 0 | 78 | 17 | min(-8, 17)= 0 | min(-6, 17)= 0 | min(-8, -6)= 0 | 포기가능 학점이 없음 |
68 | 3 | 62** | 17 | 0 | 78 | 17 | min(1, 17) = 1 |
min(4, 17) = 4 |
min(1, 4) = 1 |
포기가능 학점이 수강신청 학점 이내 |
78 | 5 | 73 | 17 | 6 | 78 | 17 | min(18, 17) = 17 |
min(18, 17) = 17 |
min(17, 17) = 17 |
포기가능 학점이 수강신청 학점 초과 |
* 포기하지 않은 총 F/N 학점이 2학점이 있음
** 포기하지 않은 총 F/N 학점이 3학점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