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은 자연과학의 가장 기본이고 핵심이 되는 분야로서, 그 다루는 분야가 가장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다. 물리학부에서 개설되는 주요 과목들은 역학, 양자역학, 전자기학, 상대성 이론, 열역학, 통계역학, 현대물리학, 수리물리학 등이다. 전공분야로는 초전도체, 자성체 및 반도체 등 다양한 신소재 및 전자재료의 갖가지 물리적 성질을 다루는 고체물리학과, 기본입자나 핵 등 원자 이하의 물리현상을 다루는 입자 물리학이라는 두 개의 큰 줄기가 있다.
물리학은 화학, 생물학, 지구과학, 천문학, 해양학, 기상학 등 모든 자연과학의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전자공학, 정보통신공학, 전기공학, 전파공학, 재료공학, 화학공학 등 산업적 응용이 광범위한 첨단 신소재관련 공학분야와도 대단히 밀접하게 연관되어 다수의 전공과목이 겹치기도 한다. 또한, X-선 CT 촬영이나 초음파진단, 자기공명영상(MRI),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암 치료 등 의공학, 진단의학, 치료의학 등에도 파급효과가 광범위한 학문분야이다. 그 이외도 전산물리학, 전자공학, 광학, 레이저물리학, 반도체물리학, 초전도체 및 자성체 물리학 등의 첨단기술 및 응용분야가 있다.
물리학 분야의 지식이 나노기술, 정보통신기술, 생명공학기술 등과 같은 첨단기술분야의 발전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면서 이러한 첨단기술 분야에 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물리학 분야의 경험을 쌓아야 할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물리학과에서는 물리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학생들이 자연의 여러 현상을 물리적 원리나 법칙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이러한 물리법칙 들이 어떻게 다양한 산업분야에 응용되었는지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물리학부의 학부과정에서 물리학을 전공한 학생들은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및 직관력, 그리고 첨단기술과 관련된 실험의 수행능력을 개발할 기회를 갖게 될 것이며 학부 졸업 후에는 이공계 뿐 아니라 인문과학분야에서도 전문가로서 활동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물리학 전공의 목표는, 광범위한 자연과학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게 하여 물리학을 포함한 자연과학 및 관련 공학 학문분야에서 진학하고 연구하거나, 또는 정보통신, 전기/전자 및 컴퓨터 관련 기업체 현장에서 물리학의 산업적 응용을 담당할 전문 기술인력을 양성하는데 있다.
학년 | 학기 | 이수구분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시 간 | 비 고 | ||
---|---|---|---|---|---|---|---|---|---|
이론 | 실습 | ||||||||
2 | 1 | 전필 | BJBA10491 | 고전역학개론및연습 | 3 | 2 | 2 | ||
2 | 1,2 | 전필 | BJBA39635 | 전기자기학개론및연습 | 3 | 2 | 2 | ||
3 | 1 | 전필 | BJBA10521 | 양자물리학개론및연습 | 3 | 2 | 2 | ||
3 | 2 | 전필 | BJBA10532 | 열및통계물리학1 | 3 | 3 | 0 | ||
소 계 | 12 | 9 | 6 | ||||||
2 | 1 | 전선 | BJBA49090 | 나노과학입문 | 3 | 3 | 0 | ||
2 | 1 | 전선 | BJBA10552 | 전자공학 | 3 | 3 | 0 | ||
2 | 1 | 전선 | BJBA10577 | 현대물리학실험1 | 3 | 0 | 6 | ||
2 | 2 | 전선 | BJBA10493 | 고전역학특론및연습 | 3 | 2 | 2 | ||
2 | 2 | 전선 | BJBA10510 | 수리물리학1 | 3 | 3 | 0 | ||
2 | 2 | 전선 | BJBA10572 | 현대물리학 | 3 | 3 | 0 | ||
2 | 2 | 전선 | BJBA10578 | 현대물리학실험2 | 3 | 0 | 6 | ||
3 | 1 | 전선 | BJBA10507 | 상대론과우주 | 3 | 3 | 0 | ||
3 | 1 | 전선 | BJBA10512 | 수리물리학2 | 3 | 3 | 0 | ||
3 | 1 | 전선 | BJBA10551 | 전산물리학및연습 | 3 | 2 | 2 | ||
3 | 1 | 전선 | BJBA10553 | 전자공학실험1 | 3 | 0 | 6 | ||
3 | 2 | 전선 | BJBA49094 | 고급양자물리학 | 3 | 3 | 0 | ||
3 | 2 | 전선 | BJBA49093 | 양자소재및소자 | 3 | 3 | 0 | ||
3 | 2 | 전선 | BJBA49091 | 양자소재제어실험1 | 3 | 0 | 6 | ||
3 | 2 | 전선 | BJBA10555 | 전자공학실험2 | 3 | 0 | 6 | ||
3 | 1,2 | 전선 | BJBA10523 | 양자물리학특론및연습 | 3 | 2 | 2 | ||
3 | 1,2 | 전선 | BJBA39636 | 전기자기학특론및연습 | 3 | 2 | 2 | ||
4 | 1 | 전선 | BJBA39576 | 고급물리학실험1 | 3 | 0 | 6 | ||
4 | 1 | 전선 | BJBA10494 | 고체물리학1 | 3 | 3 | 0 | ||
4 | 1 | 전선 | BJBA49092 | 양자소재제어실험2 | 3 | 0 | 6 | ||
4 | 1 | 전선 | BJBA10533 | 열및통계물리학2 | 3 | 3 | 0 | ||
4 | 1 | 전선 | BJBA10567 | 핵물리학 | 3 | 3 | 0 | ||
4 | 2 | 전선 | BJBA39579 | 고급물리학실험2 | 3 | 0 | 6 | ||
4 | 2 | 전선 | BJBA10495 | 고체물리학2 | 3 | 3 | 0 | ||
4 | 2 | 전선 | BJBA10433 | 물리학과첨단기술 | 3 | 3 | 0 | ||
4 | 2 | 전선 | BJBA18881 | 반도체물리 | 3 | 3 | 0 | ||
4 | 2 | 전선 | BJBA49095 | 양자소재측정기기학 | 3 | 0 | 6 | ||
4 | 2 | 전선 | BJBA10541 | 입자물리학 | 3 | 3 | 0 | ||
4 | 2 | 전선 | BJBA10570 | 현대광학 | 3 | 3 | 0 | ||
소 계 | 87 | 56 | 62 | ||||||
총 계 | 99 | 65 | 68 |
교수명 | 전공 | 연구실 | 연락처 | |
---|---|---|---|---|
김광주 | 고체물리학 | 과학관 433호 | 02-450-3085 | kjkim@konkuk.ac.kr |
이무희 | 고체물리실험 | 과학관 426호 | 02-450-3084 | mhlee@konkuk.ac.kr |
윤종혁 | 입자물리학 | 과학관 423호 | 02-450-3404 | yoonjh@konkuk.ac.kr |
권용경 | 응집물리학 | 과학관 422호 | 02-450-3410 | ykwon@konkuk.ac.kr |
여준현 | 응집물질물리 및 응용물리 | 과학관 431호 | 02-450-3167 | jhyeo@konkuk.ac.kr |
박배호 | 응용물리학 | 과학관 427호 | 02-450-3405 | baehpark@konkuk.ac.kr |
송정현 | 고에너지물리 | 과학관 432호 | 02-450-3406 | jhsong@konkuk.ac.kr |
이훈경 |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 과학관 430호 | 02-450-0451 | hkiee3@konkuk.ac.kr |
장성호 | Mesoscopic Physics | 과학관 425호 | 02-450-0534 | shjhang@konkuk.ac.kr |
정현종 | 고체물리 실험 | 과학관 421호 | 02-450-0535 | hjchung@konkuk.ac.kr |
최진식 | 응집물질물리 실험 | - | 02-450-3417 | jinschoi@konkuk.ac.kr |
노유신 | nanophotonics and optoelectronics | 과학관 429호 | 02-450-3419 | ysno@konkuk.ac.kr |
이예령 | Computational Optical Imaging | 과학관 424호 | 02-450-3418 | yeryoung@konkuk.ac.kr |
Eleanor E. B. Campbe | Chemical Physics | 과학관 307호 | eleanor.campbell@ed.ac.uk | |
Qaunxi Jia | Quantum Material Physics | 과학관 307호 | 1-505-667-2716 | qxjia@lanl.gov |
Kingman Cheng | High Energy Physics | 과학관 307호 | 02-450-3406 | cheung@phys.nthu.edu.tw |
Tomoji Kawai | 재료물리 | 과학관 307호 | 02-450-3405 | t-kawai@gk9.so-net.ne.j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