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공학부


○ 학과 소개


  전자공학 및 정보통신 분야는 인류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가꾸어 줄 정보통신 사회를 기술적으로 이끌어가며,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첨단산업 분야이며, 최첨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기술을 모두 다루는 폭넓은 학문 분야이다. 또한, 전자공학 및 정보통신 분야는 국내 기술 수준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고, 수출 등 국내 경제를 이끌어가고 있으므로,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들이 꿈을 펼친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학문 분야이다. 건국대학교 전자공학부는 다양한 분야의 기초지식과 전자회로, 통신, 컴퓨터, 전자장, 반도체, 제어 등의 미래지향적인 전자공학이론에 대한 심도있는 교육을 통하여 급속한 기술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한편, 충분하고 다양한 실험실습 교육을 통하여 연구소 및 산업현장에서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공학적 자질을 배양함에 역점을 두고 있다.


○ 교육목표


  건국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육목표는 설립자의 건학이념인 성과 신과 의의 덕성을 기르는 인간교육을 바탕으로 하여 넓게는 전자공학을 통하여 인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에 있고, 좁게는 고도정보화 사회를 대표하는 전자 산업, 특히 통신, 반도체, 전자파, 자동제어, 컴퓨터 분야 등의 고급 기술자 및 연구원을 양성함에 있다. 구체적인 교육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전자공학 전문가로서 필요한 기초 과학, 수학 및 컴퓨터 이론의 습득 및 활용능력 배양

  (2)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전자 및 정보통신 분야의 기본 이론 및 응용 기술 배양

  (3) 차세대 전자공학 엔지니어에 요구되는 종합적 사고를 통한 창의적 설계 및 문제해결 능력 배 양

  (4) 국제적 공동 연구 및 업무가 가능한 전문 인력으로서의 의사소통 능력 및 리더십 배양


○ 전자공학 프로그램 교육목표에 따른 학습성과


  본 프로그램은 공학교육인증을 획득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하면서 본 프로그램을 이수한 졸업생들이 습득하고 있어야 할 학습성과를 설정하였다. 이 학습성과는 크게 전공기반, 기본소양, 공학실무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자공학 프로그램위원회에서는 확정된 프로그램의 교육목표와 잘 일치하는 학습성과 항목 12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전공기반

  (1) 수학, 기초과학, 공학지식과 이론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

  (2) 자료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 및 실험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

  (3) 요구된 필요 조건에 맞추어 시스템, 요소, 공정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4) 복합 학제적 팀의 한 구성원의 역할을 해낼 수 있는 능력

  (5) 공학 문제들을 인식하며, 이를 공식화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기본소양

  (6) 직업적, 도덕적 책임에 대한 인식

  (7) 효과적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

  (8) 거시적 관점에서 공학적 해결 방안이 끼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9) 평생 교육의 필요성의 인식과 평생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

  (10) 경제, 경영, 환경, 법률 등 시사적 논점들에 대한 기본 지식

  (11) 세계문화에 대한 이해와 국제적으로 협동할 수 있는 능력


  • 공학 실무

  (12) 공학 실무에 필요한 기술, 방법, 첨단 공학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13) 전자공학 신기술의 이해 및 응용 능력


○ 이수내규


  • 학사졸업 요건

  전자공학부(전자공학전공, 정보통신전공)의 학사 졸업 요건은 다음과 같다. 

  (1) 총 이수학점:선택교양, 지정교양, 전공필수, 전공선택 교과목을 모두 합하여 140학점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2) 선택교양:5개 영역(언어교과,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 및 체육)에서 각각 한과목 이상을 반드시 선택하여 이수하고, 취득 학점의 합이 20학점 이상이어야 한다

  (3) 지정교양 36학점. 전공필수 15학점, 전공선택 39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4) 졸업작품:졸업작품을 기획하고 구현하여 발표한 후 논문을 작성하여 심사에 통과하여야 한다.


  • 세부전공 지정 기준

  (1) 전자공학부의 재학생은 4학년 2학기 말에 세부 전공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2) 학부 재학 중에는 특정 전공에 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과목을 선택하여 수강한 후, 수강한 교과목에 따라 '전자공학부 전자공학전공'과 '전자공학부 정보통신공학전공'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3) 졸업을 앞둔 4학년 2학기 재학생이 졸업 논문 제출 전에 학부 사무실에 소정 양식의 '전공 선택 신청서'를 제출하면, 학부 교수회의에서의 사정 과정을 거쳐 세부전공을 확정받게 된다.

  (4) 전공선택 신청서를 제출하지 않거나, 전공 구성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세부 전공없이 '전자공학부'로만 인정한다.

  (5) '전자공학부 전자공학전공'이나 '전자공학부 정보통신공학전공'으로 세부전공 영역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각 전공 영역별로 개설된 전공 교과목 중 최소 39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 공학교육인증 요건

  전자공학 프로그램의 공학교육 인증을 받고자 하는 학생은 전자공학부 학사 졸업 요건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전자공학부 공학교육인증 교과과정표 참조). 

  (1) 기본소양:9과목 18학점 인증필수 이수

  (2) 수학, 기초과학, 전산학(BSM):12과목 36학점 인증필수 이수 

  (3) 전공:인증필수 교과목을 포함한 54학점 이상 이수

  (4) 편입생(전과생)의 경우 이전 학교(학과)에서 이수한 학점 중에 전자공학 인증 프로그램과 관련된 과목으로 운영위원회에서 승인한 과목을 포함하여 상기 공학인증 요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학생에 대한 프로그램 인증 부여 요건

  (1)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기본 요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2) 학점의 전체 평점과 공인된 외국어 성적이 일정 조건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인증 기준이 되는 평점과 외국어 요건은 프로그램 평가위원회에서 결정한다. 

  (3) 매 학기 1회 이상 지도교수와 상담하여야 한다


○ 졸업 후 진로


  전자공학부를 졸업 후에는 삼성전자 등 대기업을 포함한 전자 산업 관련 전문 기업체, 정부 출연 연구소 및 기업 연구소, 벤처기업 등에 전문 엔지니어로서 취업할 수 있으며, 보다 심도있는 학문 연구를 위해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다. 대학원 졸업생의 경우에는 주로 대기업 연구소를 비롯해 전자공학관련 정부 출연 연구소에 취업하게 된다.


○ 전공교육과정

 

학년
학기

이수

구분

학수

번호

교과목명

학점

(시간)

비고

2-1

전필

PF401

기초전자공학실험1

2(4)

 

2-1

"

PF402

회로이론

3(3)

 

2-2

"

PF403

기초전자공학실험2

2(4)

 

3-1

"

PF404

전자공학실험1

2(4)

 

3-2

"

PF405

전자공학실험2

2(4)

 

4-1

"

PF433

응용전자공학설계1

2(4)

 

4-2

"

PF434

응용전자공학설계2

2(4)

 

 

 

 

15(27)

 

2-1

전선A

PF101

디지털공학및실습

3(4)

 

2-1

"

PF201

컴퓨터응용및실습1

3(4)

 

2-2

"

PF410

물리전자공학

3(3)

 

2-2

"

PF411

회로망

3(3)

 

2-2

"

PF102

컴퓨터구조

3(3)

 

2-2

"

PF412

신호및시스템

3(3)

 

2-2

"

PF103

전자기학1

3(3)

 

3-1

"

PF414

전자회로1

3(3)

 

3-1

"

PF425

어셈블리언어

3(3)

 

3-1

"

PF104

데이터통신망1

3(3)

 

3-1

"

PF105

불규칙신호론

3(3)

 

3-1

"

PF106

전자기학2

3(3)

 

3-2

"

PF422

반도체공학

3(3)

 

3-2

"

PF419

전자회로2

3(3)

 

3-2

"

PF416

응용논리회로설계

3(3)

 

3-2

"

PF107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

3(3)

 

3-2

"

PF420

제어시스템

3(3)

 

3-2

"

PF424

디지털통신

3(3)

 

3-2

"

PF426

디지털신호처리

3(3)

 

3-2

"

PF108

안테나공학

3(3)

 

3-2

"

PF109

데이터통신망2

3(3)

 

4-1

"

PF110

ULSI공정기술

3(3)

 

4-1

"

PF111

ASIC설계

3(3)

 

4-1

"

PF112

임베디드시스템

3(3)

 

4-1

"

PF423

디지털제어

3(3)

 

4-1

"

PF113

이동통신공학

3(3)

 

4-1

"

PF114

영상신호처리

3(3)

 

4-1

"

PF115

고주파회로설계

3(3)

 

4-2

"

PF116

디스플레이공학및설계

3(3)

 

4-2

"

PF117

고속통신망설계

3(3)

 

4-2

"

PF118

통신시스템설계

3(3)

 

4-2

"

PF119

멀티미디어신호처리및실습

3(4)

 

 

 

 

96(99)

 

3-1

전선B

BL211

공장자동화

3(3)

산업공

3-2

"

BE107

전력전자1

3(3)

전기공

3-2

"

PD108

네트워크프로그래밍

3(4)

컴퓨터시스템

4-1

"

BU145

로보틱스

3(3)

기계항공

4-2

"

PE111

인공지능

3(3)

소프트웨어

 

 

 

15(16)

 

 

 

합  계

 

126(142)

 


 

전공프로그램별 과목구성


○ 선택 1 전자공학전공

 

학년

학기

교과목명

학점

2-1

디지털공학 및 실습

3

2-2

물리전자공학

3

2-2

회로망

3

2-2

컴퓨터구조

3

2-2

신호 및 시스템

3

2-2

전자기학 1

3

3-1

전자회로 1

3

3-1

어셈블리언어

3

3-1

데이터통신망 1

3

3-1

불규칙신호론

3

3-1

전자기학 2

3

3-2

반도체공학

3

3-2

전자회로 2

3

3-2

응용논리회로설계

3

3-2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

3

3-2

제어시스템

3

3-2

디지털통신

3

3-2

디지털신호처리

3

3-2

안테나공학

3

3-2

데이터통신망 2

3

4-1

ULSI 공정기술

3

4-1

ASIC 설계

3

4-1

임베디드시스템

3

4-1

디지털제어

3

4-1

영상신호처리

3

4-1

고주파회로설계

3

4-2

디스플레이공학 및 설계

3

4-2

멀티미디어신호처리 및 실습

4


 

○ 선택 2 정보통신공학전공

 

학년

학기

교과목명

학점

2-1

디지털공학 및 실습

3

2-2

물리전자공학

3

2-2

회로망

3

2-2

컴퓨터구조

3

2-2

신호 및 시스템

3

2-2

전자기학 1

3

3-1

전자회로 1

3

3-1

어셈블리언어

3

3-1

데이터통신망 1

3

3-1

불규칙신호론

3

3-1

전자기학 2

3

3-2

반도체공학

3

3-2

전자회로 2

3

3-2

응용논리회로설계

3

3-2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

3

3-2

제어시스템

3

3-2

디지털통신

3

3-2

디지털신호처리

3

3-2

안테나공학

3

3-2

데이터통신망 2

3

4-1

ASIC 설계

3

4-1

디지털제어

3

4-1

이동통신공학

3

4-1

영상신호처리

3

4-1

고주파회로설계

3

4-2

고속통신망설계

3

4-2

통신시스템설계

3

4-2

멀티미디어신호처리 및 실습

4

 

 

○ 교과목(전공필수)


기초전자공학실험 1

전자회로의 기본 소자인 R, L, C의 측정법과 회로이론의 기본법칙들을 실험을 통해 익힌다.


회로이론

직류 전기 신호가 저항, 콘덴서, 인덕터 등을 통과하면서 나타내는 특성을 회로해석 이론을 통하여 이해한다. 노드 해석과 메쉬해석을 포함하여 테브닌 등가회로와 노턴 등가회로를 구하는 방법을 다룬다.


기초전자공학실험 2

회로이론의 주요 법칙들을 실험하고, PN접합 다이오드를 이용한 간단한 회로를 꾸며본다.


전자공학실험 1

TR, FET, IC 등의 특성과 각종 system을 설계하기 위한 기본회로들을 실험한다.


전자공학실험 2

digital system의 기초가 되는 element들의 동작구성과 data의 제반존재 현상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며, 차후 digital 이론의 실제 구현을 위한 경험을 습득케 한다.


응용전자공학설계 1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독창적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수행한다. 스스로 회로를 설계하고 필요한 부품을 구입하여 시스템을 제작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응용전자공학설계 2

기획하고 수행한 설계 프로젝트에 대한 이론은 보고서로 제출학고 발표한다. 제작한 시스템은 졸업작품전시회를 개최하여 발표하고 평가를 받는다.


○ 교과목(전공선택)


디지털공학 및 실습

디지털 시스템 및 디지털 컴퓨터에 대한 기본 개념으로, 정보의 표현, 논리 게이트, 부울 대수, 카노 맵에 대한 이해와 디코더, 멀티플렉서, 병렬 가산기, 레지스터, 카운터, RAM, ROM, Programmable Logic Device 등 조합 논리 회로와 순차 논리 회로의 해석과 설계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다룬다.


컴퓨터응용 및 실습 1

웹사이트 개발방법을 배운다. HTML을 이용한 홈페이지 작성방법, Active Server Page(ASP)와 Scripr Language를 이용한 서버쪽 프로그램 방법 및 다이나믹한 홈페이지 생성방법, InterDev의 사용 방법 등을 공부한다. 자신의 홈사이트와 전자 쇼핑몰 등을 만들어 본다.

 

 

물리전자공학

전자의 물리적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양자역학과 양자통계를 다루고, 고체에서의 band 이론의 기초와 semiconductor의 물리적 제현상들을 이해한다.


회로망

회로망 해석의 기본개념 및 정리, 그리고 해석에 필요한 Fourier 변환과 Laplace 변환을 배운다. G변환, Z변환 회로망 함수의 pole, zero, 2단자망과 4단자망의 회로합성, 필터설계 등을 배운다.


컴퓨터구조

디지털 컴퓨터의 구조에 대한 과목으로 datapath, control unit, instruction set architecture, CPU, input/ output interface, memory hierarchy의 기본 구조를 배워 컴퓨터를 설계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갖추게 한다.


신호 및 시스템

시스템 관련 과목(통신, 자동제어, 신호처리 등)을 수강하기 위한 선수과목이다. 신호의 표현을 위한 푸우리에, 라플라스 변환 등을 배운다. 선형시스템을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해 임펄스 응답, 컨벌루션 등을 배우고 주파수 영역에서 해석을 공부한다. 선형 시스템의 성질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배운다.


전자기학 1

전자공학의 기초가 되는 전계와 자계의 원리를 이해한다.


전자회로 1

본 교과목은 전자공학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습득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전공 지식인 전자기학의 입문 과정이다. 특히 정전기 이론을 주로 다룬다. 강좌 내용에는 벡터해석과 좌표계에 대한 이해, 전계 및 전위, 정전류 등에 대한 개념 정립과 정량적 접근 과정을 포함한다.

 

 

어셈블리언어

마이크로프로세서 계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초로 한 컴퓨터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프로그래밍 모델, 리얼 모드 및 보호 모드 동작, 명령어, 프로그래밍 기초, 어셈블러 프로그램, DOS 함수, BIOS 함수, 마우스 함수, 다른 언어와 함께 어셈블러 언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데이터통신망 1

정보통신망 구성에 관한 기본적인 공학개념들을 학습한다.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모델, 통신 프로토콜의 개념,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정보의 개념, 정보의 표현방법, 데이터 전송 및 전달, 다중화, 전화망과 인터넷에 관하여 학습한다.


불규칙신호론

확률 신호를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기본과목으로, 확률의 개념과 확률변수, 확률분포, 확률과정 등의 기초 성질의 이해와 응용을 다룬다.


전자기학 2

본 학과목은 정자계와 변화하는 전자계에 관한 전자기적 이론을 다루며, 이를 바탕으로 맥스웰 방정식을 정리하여 전파의 개념을 도출한다. 다양한 매질에서 전파는 어떻게 진행하는가, 또는 매질의 경계면에서 전파는 어떻게 반사되고 굴절되는가 하는 주제를 심도 깊게 다룬다.


반도체 공학

실생활에 유용히 쓰이는 반도체의 종류와 성질, 그리고 전자회로 및 system구성를 위한 디바이스들을 다룬다.


전자회로 2

전자회로 1에서 배운 것을 토대로 TR, FET로 구성되는 digital element들과 LSI, Digital 응용회로, 비선형 증폭기, 발진기, 연산증폭기들의 주파수 응답을 다룬다.

 

 

응용논리회로설계

디지털 논리회로를 이용하여 실제적인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응용논리회로를 구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원리와 구성, 기능, 언어구성, 작동법 등을 배우고 이를 이용하여 응용 시스템 설계를 배운다. 본 과목에서 소개된다.


제어시스템

궤한제어의 개념, 전기계, 기계계, 유체계 및 역학계의 제어소자의 기술방법 전달함수 제어계의 해석, 안정성 판별법, 근궤적 방법, 제어계의 설계, 최적응답 해석


디지털통신

불규칙 신호론, ASK, FSK, PSK 등 디지털 변조방식, 디지털 복조 방식의 성능 분석, 다원 접속 등을 소개한다.


디지털신호처리

아날로그-디지탈(A/D) 변환, Z-transform, sampling 이론, decimation, interpolation, DFT, FFT 각종 디지털 필터의 분석 및 설계 등에 대하여 다룬다.


안테나 공학

전자기학 기본 이론들로부터 안테나 기본 개념에 접근한다. 그리고, 안테나 임피던스라든가 복사패턴, 지향성, 이득, 편파 및 효율 등 안테나 파라미터에 대해 이해한다. 실제 안테나 예로는, 다이폴, 모노폴, 루프, 야기, 진행파 안테나 등을 다룬다. 안테나 어레이 이론도 포함된다.


데이터통신망 2

정보통신망에 있어서 LAN(Local Area Network),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구현에 관련된 망 기술들에 대해 학습한다. 스위칭, 프레임릴레이, ATM, 네트워킹 및 망 연동 장비, TCP/IP에 대해 학습한다.


ULSI 공정기술

초고집적회로에서 필수적인 반도체소자를 이해하기 위해 실리콘단결정성장, 웨이퍼가공, 산화막과 질화막성장, 이온주입, 화학증기압증착 금속접합공장, SOI 소자와 결절결함과 제어를 다루고 디스플레이산업의 첨단분야인 유기발광소자와 유기트랜지스터를 소개한다.


ASIC 설계

이 과목의 목표는 VHDL 또는 Verilog의 언어를 이용하여 ASIC을 설계하고 구현하며, 설계된 ASIC의 테스트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설계 방법론에 대한 중요한 개념을 가르치는데 있다. 이 과목에서는 멀티미디어, 무선 통신, 컴퓨팅 등의 응용에 필요한 알고리즘을 ASIC을 통해 구현하는데 촛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합성가능한 HDL이나 상용화된 합성툴을 이용하여 칩 설계의 경험을 갖도록 한다. 


임베디드시스템

임베디드시스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에 대해 다룬다. 임베디드프로세서 선택, 하드웨어/펌웨어 파티셔닝, 회로설계, 회로디버깅, 개발 툴, 펌웨어 구조 및 설계, 디버깅에 대해 다룬다.


디지털제어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운용을 위한 제어 이론을 강의한다. 샘플링 및 이산화, Z-변환, 이산 시스템, 이산 상태변수, 디지털 시뮬레이션, 컴퓨터 이용 제어시스템 설계


이동통신공학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본 이론과 설계에 대해 다룬다. 다중경로페이딩 채널 특성, 변복조 기술, 등화기, 다이버시티, 채널 부호화, 다중접속 등에 대해 소개한다.


영상신호처리

1차원 신호가 주로 논의되었던 이산 신호처리 과목의 확장 과목이다. 2차원 영상 신호의 특성이 먼저 소개되며, 주파수 영역 해석에 유용한 2차원 퓨리어 변환이 소개된다. 일반적인 FIR 필터의 2차원 확장 형태인 2차원 FIR 필터에 대해 논의하며, 다양한 영상 신호 처리 응용으로, 영상 향상, 잡음 제거, 변환 기반 영상 부호화, 패턴 인식기법 등이 본 과목에서 소개된다.


고주파 회로설계

전송선로 이론과 전압반사계수, VSWR, 반사손실 및 삽입손실 개념으로부터 고주파 회로 이론을 시작한다. 가장 중요한 개념인 스미스 도표도 포함된다. LC 회로나 단일 스터브 혹은 이중 스터브를 이용한 임피던스 정합 이론을 다루고, 방향성 결합기와 하이브리드 결합기 등도 다룬다. 상용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설계연습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공학 및 설계

차세대 평판패널 디스플레이 제품인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발광소자(OEL)의 전망을 소개한다.  특히 유기EL 디바이스에서 구조의 물리적 해석 및 동작메카니즘 그리고 유기물질인 고분자와 단분자를 다루고 에너지 대역과 표면과 계면에서 효과를 기술한다. 한편 유기EL의 성능 평가 및 백색 발광 유기EL과 칼라변환 기구를 기술한다.


고속통신망설계

고속통신망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적인 설계개념 및 원리를 학습한다. 통신망에 있어서 서비스 품질의 개념, 인터넷 트래픽 관리, ATM 트래픽 제어, 무선망 등에 대해 학습한다.


통신시스템설계

고급 통신이론을 적용하여 통신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직접 구현해 본다. 통신이론관련 선행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이 배운 통신관련 지식이 어떻게 디지털통신으로 구현되는지를 소규모 단위의 과제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무선통신관련 변복조 알고리즘, 채널 이퀄라이저 기술, 오류정정부호기술, 확산대역통신시스템기술 등이 다루어진다.


멀티미디어신호처리 및 실습

이 과목에서는 음성신호, 오디오 신호, 생체 신호와 같은 다양한 이산 신호의 특성에 대해 먼저 논의한다. 주된 내용은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의 멀티 미디어 신호 해석 기법, 데이타 압축 알고리즘의 구현을 위한 신호들의 처리 방법, 자동 인식 알고리즘과 신호 합성 기법을 통한 인간-기계 대화 방법을 구현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공장자동화

NC공작기계, 공정제어, 자동반송장치, 산업용 로봇(IC), 자동검사, FMS 등 제조공정 자동화의 이론과 방법, 그리고 CAD, CAP, MRP 등 자동설계와 제조공정관리의 자동화에 대한 이론과 방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전력전자 1

전력용 반도체소자의 특성을 공부하고, 다이오드정류회로, 제어정류회로, 교류전압조정기, 싸이클로컨버터, 직류초퍼 등의 분야를 전원 및 부하가 단상 및 3상인 각 경우에 대하여 다룸으로써 전력전자의 기초적인 분야를 주로 공부한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선수과목인 데이터 통신의 이론을 실제적으로 구현하는 과정이다. 해당 과정은 TCP/IP 소켓을 위주로 하며 다양한 응용을 구현한다. 특히 차세대 통신 프로토콜인 IPv6의 구현 역시 다룬다. 텀 프로젝트가 평가 항목으로 포함된다.


로보틱스

생산자동화의 핵심요소인 산업용 로봇에 대하여, 이론적인 지식과 산업현장에서의 실제 적용을 공부한다. 메커니즘, 동특성, 제어, 프로그래밍 언어, 인터페이싱, 컴퓨터 비전을 소개하고, 스칼라로봇의 프로그래밍과 구동 실습을 수행한다. 또, 비산업용 분야에서 로봇의 발전 방향과 응용 사례를 소개한다.


인공지능

Learming의 개념과 과정, 의사결정론을 공부한 후 Expert System, 자연어처리, 컴퓨터 비전 등에 관한 강의를 한 후 Lisp, Prolog 등의 언어도 실습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