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진로진학상담전공
- 전공사무실 : 산학협동관 607호 / 02-450-3922
- 홈페이지 :
교육목표
본 전공은 중고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할 뿐 아니라 교육 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진로진학상담전문가 양성과 재교육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청소년의 진로발달과 진로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진로진학상담에 대한 이론 및 기술 등 진로진학상담교사에게 요구되는 내용을 심층적으로 학습하도록 한다. 셋째, 진로진학상담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실제 상담기법 및 진로교육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다양한 사례와 실제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을 하도록 함으로써 진로진학상담교사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교수소개
교육과정

-
‘부전공에 의한 표시과목 취득 과정’ 이수학점
- 전공과목 30학점 이상(이수과목 14학점 이상, 교과교육영역 6학점 이상 포함)
※ 부전공에 의한 표시과목 취득을 위해 재학 중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 적격판정 2회 이상 , '응급 처치 및 심폐소생술' 2회 이상,
‘성인지 교육’ 2회 이상 이수
※ 논문 작성 여부 상관없이 위의 기준학점(전공 30학점 이상)을 충족해야 함
-
재교육과정 이수학점
- 논문졸업: 24학점 이상(전공 18학점, 공통 6학점)
- 학점학위(비논문졸업): 30학점 이상(전공 18학점, 공통 6학점 포함)
교과교육영역(전공)교육과정
교과목 명 |
영문교과목명 |
학점(시간) |
비고 |
진로진학상담 교육론 |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Pedagogy |
2(2) |
|
진로진학상담 교육과정 개발 및 활용 |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Curriculum |
2(2) |
|
진로진학상담 교재연구 및 지도법 |
Teaching Methodology of Career Education |
2(2) |
|
진로진학상담 교과평가방법 개발 및 활용 |
Student Evaluation in Career Education |
2(2) |
|
※ 부전공 취득과정: 6학점 이상 이수
기본이수과목(전공)교육과정
교과목 명 |
영문교과목명 |
학점(시간) |
비고 |
진로교육개론 |
Introduction to Career Education |
2(2) |
|
청소년진로특성 진단 및 활용 |
Career Assessment for Adolescents |
2(2) |
|
진로진학지도 프로그램 활용 및 운영 |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
2(2) |
|
직업세계와 직업정보 탐색 |
Understanding of Career Information |
2(2) |
|
진로체험과 지역사회 |
Work Experiences and Community |
2(2) |
|
진학지도기법의 이론과 실제 |
Theories of Vocational Guidance and Practice |
2(2) |
|
교육세계와 진학정보 탐색 |
Understanding of Academic Information |
2(2) |
|
특수집단의 진로진학지도 |
Career Education for Exceptional Adolescents |
2(2) |
|
학부모 진로진학지도 상담 |
Career Counseling with Parents |
2(2) |
|
※ 부전공 취득과정: 14학점 이상 이수
전공교육과정
교과목 명 |
영문교과목명 |
학점(시간) |
비고 |
진로진학상담 과정 및 기법 |
Career Counseling Process and Strategies |
2(2) |
|
아동 및 청소년 진로발달 |
Career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2(2) |
|
최근 진로진학상담 이론과 연구동향 |
Current Issues of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
2(2) |
|
고등학교 및 대학 입학전형 이해 및 실제 |
Understanding of Transition to Higher Education |
2(2) |
|
자유학기제 운영 세미나 |
Seminar on 'Ja-Yu' Semester |
2(2) |
|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세미나 |
Seminar on Work Experience Programs |
2(2) |
|
진로진학상담 실습 및 사례지도 |
Career Counseling Practicum |
2(2) |
|
진로진학상담 연구방법 |
Career Counseling Research Methodology |
2(2) |
|
진로진학상담 현장연구 |
Career Counseling Field Study |
2(2) |
|
상담 이론 및 실제 |
Counseling Theories and Practice |
2(2) |
|
고급 진로상담 이론 및 실제 |
Advanced Career Counseling Theories and Practice |
2(2) |
|
미래의 일과 진로 상담 |
Future Work and Career Counseling |
2(2) |
|
교과목 해설
교과목 명 |
교과목 해설 |
진로교육개론 |
진로교육의 개념, 필요성, 목표, 일반원리와 실제에 관해 학습한다. |
청소년진로특성 진단 및 활용 |
청소년 진로특성을 이해하고 청소년들의 진로문제를 진단하기 위한 심리검사를 학습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진로진학지도 프로그램 활용 및 운영 |
진로 및 진학지도를 위한 프로그램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할 뿐 아니라 학교현장에 적합한 진로진학지도 프로그램 개발방법을 학습한다. |
직업세계와 직업정보 탐색 |
직업세계와 직업정보의 종류를 이해하고 이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과 활용방안을 학습한다. |
진로체험과 지역사회 |
효과적인 진로체험의 목표를 이해하고 진로체험방안과 전략을 학습한다. 또한 지역사회 자원 활용 방안을 탐색한다. |
진학지도기법의 이론과 실제 |
진학지도 기법과 관련된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상담 및 교육에 적용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
교육세계와 진학정보 탐색 |
진학과 관련된 정보의 종류를 이해하고 이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과 활용방안을 학습한다. |
특수집단의 진로진학지도 |
장애학생이나 영재학생과 같은 특수한 청소년들을 위한 진로진학지도 방법을 이해한다. |
학부모 진로진학지도 상담 |
학부모와의 진로진학상담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진로진학상담 과정 및 기법 |
진로진학상담과정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상담기법을 학습하여 학생들과의 진로진학상담에 적용하도록 한다. |
아동 및 청소년 진로발달 |
아동 및 청소년들의 진로발달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진로진학상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최근 진로진학상담 이론과 연구동향 |
최근 진로진학상담 이론 및 연구동향을 이해하여 학교현장에서의 진로진학상담 및 진로교육에 적용하도록 한다. |
고등학교 및 대학 입학전형 이해 및 실제 |
고등학교나 대학 입학전형의 종류 및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진로진학상상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자유학기제 운영 세미나 |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아이디어, 방법, 전략 등에 대해서 논의하고 탐색한다. |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세미나 |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을 위한 아이디어, 방법, 전략 등에 대해서 논의하고 탐색한다. |
진로진학상담 교육과정 개발 및 활용 |
진로진학상담 및 진로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진로진학상담 교재연구 및 지도법 |
진로진학상담 및 진로교육을 위하여 개발된 기존 교재들을 탐구하고 학교현장에 적합한 교재개발 방법을 학습한다. |
진로진학상담 교과평가방법 개발 및 활용 |
진로진학상담 및 진로교육 수업에서 학생들을 평가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개발하여 실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진로진학상담 실습 및 사례지도 |
효율적인 진로진학상담에 필요한 상담기법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 상담에 적용해 보도록 함으로써 상담역량을 강화하도록 한다. |
진로진학상담 연구방법 |
진로진학상담 분야에서의 연구방법론을 탐색하고 이를 학습하여 실제 연구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
진로진학상담 현장연구 |
연구방법론을 통하여 학습한 내용을 기초로 현장에서 실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하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