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안내

사이트맵

로그인

  • Home
  • 전공소개
  • 전공소개

전공소개

음악교육전공전공목록으로 돌아가기

교육목표

본 전공은 학문적 전문성과 실천적 지도력을 겸비하여 21세기 지식 및 문화기반 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인재 육성에 기여할 수 있는 예술 및 음악교육 분야의 선도적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음악교육의 철학, 역사, 교수-학습 심리 및 현장과 연계되어 있는 다양한 지도법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와 함께 21세기 한국적 음악교육 모델의 탐색을 위한 다양한 국악 및 국악교육 강좌를 개설하고 있으며, 특히 지식 및 문화 기반사회에 대응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교과를 제공함으로서 학교현장 및 사회음악교육의 지도자 양성에 필요한 여건을 제공하고 있다.

교수소개
직급 교수명 연구실 연락처 E-mail
교수 최은식 교육과학관 310호 450-3839 eshchoi@konkuk.ac.kr
교수 윤성원 교육과학관 308호 450-3837 swyun@konkuk.ac.kr
교수 김재미 교육과학관 304호 450-4127 kimjaemi@konkuk.ac.kr
교수 유승공 교육과학관 305호 450-3844 skyoo@konkuk.ac.kr
부교수 안소영 교육과학관 306호 450-3838 asyung@konkuk.ac.kr
명예교수 백원정     wjpaik@konkuk.ac.kr
교육과정전공로드맵 열람
교과교육영역(전공)교육과정
교과목 명 영문표기 학점(시간) 비고
음악교육론 Introduction to Music Education 2(2)  
음악교재연구 및 지도법 Materials and Methodologies for Music Education 2(2)  
음악논리및논술 Academic Writings on Musical Topics 2(2)  
기본이수과목(전공)교육과정
교과목 명 영문표기 학점(시간) 비고
국악실기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2(2)  
국악가창지도법 Korean Traditional Singing Pedagogy 2(2)  
합창합주지도법 Chorus & Orchestra Pedagogy 2(2)  
국악개론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2(2)  
국악사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2(2)  
서양음악사 History of Western Music 2(2)  
화성법 Harmony 2(2)  
음악분석 및 형식론 Analysis & Form in Music 2(2)  
장구반주법 Janggu Accompaniment 2(2)  
피아노반주법 Piano Accompaniment 2(2)  
전공실기(작곡) Individual Instruction in The Major - Composition 2(2)  
전공실기(피아노) Individual Instruction in The Major - Piano 2(2)  
전공실기(성악) Individual Instruction in The Major - Voice 2(2)  

※ 전공실기(성악, 피아노, 작곡) 중 두 개 이상을 이수하더라도 기본이수과목으로는 하나의 교과목만 인정함

전공교육과정(교과내용영역)
교과목 명 영문표기 학점(시간) 비고
음악교육연구법 Research in Music Education 2(2)  
음악교육 철학 연구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Music Education 2(2)  
멀티미디어 음악 교육론 Multimedia-Based Music Education 2(2)  
컴퓨터 음악 연구 Computer Music 2(2)  
음악교육 평가론 Evaluation in Music Education 2(2)  
음악 교수학습 심리학 연구 Psychology of Music Teaching & Learning 2(2)  
사회음악교육론 Theories of Continuing Education in Music 2(2)  
음악감상지도법 Teaching Methods of Music Appreciation 2(2)  
코다이교수법연구 Kodaly Method in Schools 2(2)  
오르프교수법연구 Orff Method in Schools 2(2)  
달크로즈교수법연구 Dalcroze Method in Schools 2(2)  
음악교육 과정연구 Curriculums of Music Education 2(2)  
지휘 Conducting 2(2)  
집단기악 지도법 연구 Instrumental Teaching Music Education 2(2)  
교과목 해설
교과목 명 교과목 해설
음악교육론 음악교육사, 음악교육 철학, 음악교수-학습 심리, 음악과 교육과정, 현대의 음악교육과정, 현대의 음악교육 동향 등 음악교육학을 구성하는 제 영역들에 대한 탐구를 통하여 음악교육학의 전반적 흐름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음악교재연구 및 지도법 음악교재연구 및 지도법의 목적은 첫째 음악학습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있어서 교재 및 매체의 역할을 이해하고, 둘째 교재 및 매체 제작의 원리를 적용하여 수업상황에 따라 이들 매체를 적절하게 선택,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며, 셋째 효과적인 음악교수-학습 과정의 수행에 필요한 다양한 이론들을 실제 수업상황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음악논리및논술 음악교육에서 필수적인 논술의 전반적인 체계와 방법을 이론적으로 소개하면서 이를 실제 실습하게 하여 논술 능력을 키우도록 한다.
국악개론 세계 민족 음악과의 비교를 통한 한국 음악의 역사를 연구. 국악의 뿌리와 전문성을 가진 국악교육의 중심을 찾는다.
음악분석 및 형식론 음악의 구성 요소와 음악사에 따른 다양한 음악 형식을 연구하고 실제 악곡의 분석 능력을 키운다.
피아노반주법 다양한 화음의 구성과 조바꿈 등의 연결을 이론 수업한 후 실제로 건반상에서 자유롭게 전개시킬 수 있는 능력과 반주의 능력을 기른다.
국악사 한국음악의 역사를 연구함으로써 국악의 뿌리와 전문성을 알게 하고 한국음악 감상도 곁들여 이해의 폭을 넓힌다.
합창합주 지도법 청소년 합창과 합주를 효과적이고 음악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테크닉, 합주지도 기법, 중등학교 학생의 음악적 수준에 적합한 합주문헌, 지휘법 및 음악해석론 등의 주제를 이론과 병행하여 다룬다.
국악가창지도법 한국의 고유한 음악을 폭넓게 이해하도록 하며 각 지방 민요의 특징과 가창법 및 여러 가지 장단에 어울리는 민요를 지도하는 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장구반주법 각 지방의 특징에 맞는 여러 가지 장단을 익혀서 장구연주기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음악교육 연구법 학문의 지속과 발전에 있어서의 연구 및 개발의 의미와 의의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게 하고, 음악교육연구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방법들을 익히게 하며, 연구방법 이론을 적용하여 독자적으로 연구계획을 작성할 수 있게 한다.
음악교육 철학 연구 본 강좌를 통해 ‘음악’에 대한 다양한 존재론적 관점(Ontological Perspectives)을 이해하고, 음악교육학 실천의 기초가 되는 철학적·미학적 관점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멀티미디어 음악 교육론 본 강좌의 목표는 첫째, 멀티미디어의 구성요소를 이해한다.
둘째, 멀티미디어 구성매체를 기초적인 수준에서 제작할 수 있다.
셋째, 음악교육 관련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초적인 수준에서 다룰 수 있다
넷째, 음악의 교수-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설계 및 저작할 수 있다.
컴퓨터 음악 연구 음악 창작, 연주, 감상 및 교수 도구로서 컴퓨터의 역할과 의미를 탐색하고, 실습활동을 통하여 이를 교사의 음악 교수 활동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
음악교육 평가론 교육평가에 관련된 일반적 주제들을 심도있게 탐구하고, 교육평가에 관련된 일반적 지식을 음악적 지식과 행동의 측정과 평가에 적용하는 방안을 탐색한다.
음악 교수 학습 심리학 연구 본 강좌의 목표는 첫째, 음악 교수-학습의 심리적 과정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게 하고, 둘째, 다양한 음악 교수-학습 이론들을 음악학습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사회음악교육론 평생교육 및 사회교육의 측면에서 음악교육의 이론 및 시설, 제도, 운영 등의 실무를 다룸으로써 사회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음악감상지도법 다양한 음악감상 교재 및 교수법에 대한 이해와 실습을 통하여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감상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코다이교수법 연구 코다이 교수법의 철학, 체계 및 방법론을 심도 있게 연구함으로써 음악지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오르프교수법 연구 오르프 교수법의 철학, 체계 및 방법론을 심도 있게 연구함으로써 음악지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달크로즈교수법연구 달크로즈 교수법의 철학, 체계 및 방법론을 심도 있게 연구함으로써 음악지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음악교육과정 연구 음악교육과정은 학교 음악교육의 영역과 내용을 규정하는 국가문서이다.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와 체계에 대한 심도 있는 탐색을 통하여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실천에 반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국악실기 한국 전통 악기(단소, 장고, 가야금, 사물악기)의 실기 교육을 통하여 한국 음악 문화에 폭넓은 이해와 교육방법을 체험케 함으로써 중등학교 학습현장에서 국악실기 지도에 만전을 기하도록 한다.
화성법 기초화성을 중심으로 관련 음악이론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서양음악사 고대음악에서부터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음악이 어떻게 변천하여 왔는가를 연구하고 시대별로 주요 음악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의 작품과 사상을 연구하며 음악 감상도 곁들여 이해의 폭을 넓힌다.
지휘 협동 음악인 합창과 합주를 지도할 수 있도록 지휘의 기초인 타법과 도형을 익히고 지휘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술을 연마하도록 실습 중심으로 지도한다.
집단기악 지도법 연구 본 강좌를 통하여 첫째, 집단기악 교수-학습과정의 학습 심리적 기초를 이해하고, 둘째 집단 기악지도와 관련된 다양한 교수이론 및 방법을 익히며, 셋째 기악지도의 학습이론과 교수법 이론을 현장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전공실기 피아노, 성악, 작곡, 관·현악기 등 음악교육 전공자들의 세부전공 실기교육을 통하여 이론과 음악실기 능력을 겸비한 지도자가 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