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정보컴퓨터교육전공
교육목표
본 전공은 미래의 정보화·지식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인재육성에 기여할 수 있는 학문적 전문지식과 컴퓨터 실습교육 능력을 겸비한 전산교육 분야의 선도적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급변하는 컴퓨터 과학과 기술의 전문적인 지식에 보조를 맞출 수 있도록 학문적 내용과 교육방법을 재교육함으로써 전문성을 향상시킨다. 둘째, 컴퓨터 교육현장의 문제를 개선하고 교육을 통해 습득한 이론과 교육방법을 교육현장에서 실천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충분한 컴퓨터 실습교육을 제공한다. 셋째, 인터넷 구축과 그 위에서 작동하는 응용소프트웨어를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인터넷을 활용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교수소개
직급 |
교수명 |
연구실 |
연락처 |
E-mail |
명예교수 |
장천현 |
새천년관 1004호 |
450-3539 |
chchang@konkuk.ac.kr |
교수 |
민덕기 |
새천년관 1101호 |
450-3490 |
dkmin21@gmail.com |
겸임교수 |
유두규 |
|
|
bima20@naver.com |
교수 |
유준범 |
공과대학 C동 386호 |
450-3258 |
jbyoo@konkuk.ac.kr |
교육과정
교과교육영역(전공)교육과정
교과목 명 |
영문표기 |
학점(시간) |
비고 |
컴퓨터교육론 |
Computer Science and Education |
2(2) |
|
전산교재연구 및 지도법 |
Studies on Computer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 |
2(2) |
|
컴퓨터교육론 |
Computer Education and Guidance to Writing |
2(2) |
|
기본이수과목(전공)교육과정
교과목 명 |
영문표기 |
학점(시간) |
비고 |
컴퓨터프로그래밍 |
Computer Programming |
2(2) |
(1)분야 |
알고리즘 |
Algorithm |
2(2) |
(2)분야 |
이산구조 |
Discrete Structure |
2(2) |
인공지능 |
Artificial Intelligence |
2(2) |
데이터구조 |
Data Structure |
2(2) |
(3)분야 |
데이터베이스 |
Database |
2(2) |
컴퓨터네트워크 |
Computer Networks |
2(2) |
(4)분야 |
운영체제 |
Operating Systems |
2(2) |
컴퓨터구조 |
Computer Architecture |
2(2) |
(5)분야 |
논리회로 |
Logic Circuit |
2(2) |
소프트웨어공학 |
Software Engineering |
2(2) |
(6)분야 |
정보통신윤리 |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
2(2) |
※ (1)분야 필수, (2)-(6)분야 중 각 분야에서 1과목 이상 이수
전공교육과정(교과내용영역)
교과목 명 |
영문표기 |
학점(시간) |
비고 |
프로그래밍 언어론 |
Programming Languages |
2(2) |
|
컴퓨터교육세미나 |
Seminar on Computer Education |
2(2) |
|
컴퓨터교육특강 |
Topics on Computer Education |
2(2) |
|
컴퓨터보조교육 |
Computer-Based Education |
2(2) |
|
멀티미디어와 교육 |
Multimedia and Education |
2(2) |
|
컴퓨터시스템 |
Computer Systems |
2(2) |
|
인터넷활용교육 |
Application of Internet to Education |
2(2) |
|
컴파일러구조 |
Compiler Construction |
2(2) |
|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
Human Computer Interaction |
2(2) |
|
인터넷프로그래밍 |
Internet Programming |
2(2) |
|
교과목 해설
교과목 명 |
교과목 해설 |
컴퓨터 교육론 |
컴퓨터 교육의 목적,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컴퓨터 과학의 변화 발전에 따른 컴퓨터와 교육과의 연계성, 이해도 등을 학습한다. 이 과목을 통해 컴퓨터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안목을 형성한다. |
전산교재연구 및 지도법 |
컴퓨터 기반 교육의 문제점과 쟁점을 파악하여 토론하고, 교과과정을 수준별로 분석하여 전산 기반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과목 및 교재 개발에 관하여 연구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해 본다. |
컴퓨터교육 및 논술지도 |
컴퓨터프로그래밍과 작문은 유사성을 갖고 있어서 양자간의 비교와 동시 학습은 서로간의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 과목에서는 이런 관점에서 컴퓨터 교육법과 작문에 대한 교육법을 배운다. |
컴퓨터 프로그래밍 |
컴퓨터를 이용한 문제 해결 방법을 배운다. C 언어 프로그래밍을 학습하여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예제와 실습을 통하여 학습한다. |
알고리즘 |
초·중·고 학생들에게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교육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 개념과 알고리즘 교육 실제에 관하여 토의하고, 세미나를 통하여 특정 주제·예제별 연구·발표를 함으로써 학생을 위한 알고리즘 교육에 대해 문제의식을 높이고, 문제 해결을 위한 탐구 능력을 배양한다. |
이산구조 |
컴퓨터와 관련된 수학적인 기초 지식을 배우고 이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구조적인 기초를 학습토록 한다. |
인공지능 |
전통적인 인공지능 이론인 탐색과 지식표현, 전문가시스템과 기계학습에 대한 주요 개념과 구현 방법에 대해 학습하고 인공지능이 응용되는 기술 및 분야와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해 본다. |
데이터구조 |
트리 및 그래프 등의 여러 변형된 자료구조에 대해서 다루며, 알고리즘의 기본적인 설계방식과 분석방법에 관하여 학습함으로써 컴퓨터 교육전문가에게 필요한 전문지식을 배양한다.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질의 처리, 트랜젝션의 관리, 동시성 제어, 신뢰도 및 일관성 문제를 다루며 최근 논문을 연구함으로써 현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발전 및 개선점 등을 연구하게 된다. |
컴퓨터네트워크 |
컴퓨터의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과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