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의 이해 |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실제와 연관시켜 연구할 수 있는 기본적 소양을 기른다.
|
교육과정 이론 |
교육과정의 개념, 형태, 개발 모형, 적용 과정 등을 이해하고, 학교교육과정과 관련된 문제점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
교수학습이론 |
교수-학습의 기초가 되는 제 이론들을 이해하고, 실제 교과수업과 관련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
교육사회학이론과 문제탐구 |
교육 현상을 사회 체제 및 구조와 연계하여 분석하는 이론적 관점과 방법론을 학습하고, 그러한 관점에서 교육의 주요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
교육정책의 이해 |
교육 행정 및 경영, 학교 제도와 조직, 장학 등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최근의 교육 행정 및 정책 등의 실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
학교학급경영 |
학교 및 학급 경영과 관리에 관한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고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여러 문제를 진단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
학생상담의 이론과 실제 |
인간 발달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기초로, 상담에 필요한 이론과 실제적인 기법을 학습한다.
|
평생교육론 |
평생학습의 시대에서 요구되는 사회 교육프로그램의 계획, 운영 등에 대해 연구한다.
|
학생평가의 이론과 실제 |
평가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토대로,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학생을 평가하는 구체작인 방법을 구안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학생평가에 대한 능력을 신장시킨다.
|
교육사상과 철학 |
주요 교육 사상가들의 이론을 그 철학적 배경과 연계 지워 분석함으로써 교육의 구조와 가치, 본질 등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한다.
|
교육공학의 이해 |
교육공학의 학문적 성격을 이해하고, 공학적인 방법이 교육에 응용되는 구체적인 방법을 익히며, 그 의의와 한계를 고찰한다.
|
교육연구방법 |
교육과 관련한 양적·질적 연구 방법을 습득하여, 교육 이론 및 교육 실제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 설계 방법을 모색한다.
|
교육과정 및 교과지도 |
교육과정 및 교과지도에 대한 최근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현장에서 직면하는 여러 문제를 이러한 이론과 연계지어 해석·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교육통계 및 평가 |
교육현상과 문제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주요 통계 분석 방법 및 평가 이론을 학습한다.
|
교육문제 연구 |
현재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교육학 관련 이론을 토대로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
교수설계이론 |
주요 교수이론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교수설계 모형을 연구·분석하고, 이러한 경험을 기초로 교수설계 모형을 직접 개발한다.
|
성격이론과 인성교육 |
역사적으로 변천해 온 성격 이론 및 현재의 성격 이론을 연구·분석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바람직한 인성교육 방법을 구안한다.
|
현대사회와 교사윤리 |
급속히 변화해가는 현대사회 속에서 시대가 요청하는 교사성과 교사의 역할을 검토해 보는 한편, 학교 상황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윤리, 도덕적 문제해결력의 향상을 그 목적으로 한다.
|
교육과정운영 |
교육과정 개발, 적용, 평가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함께 실제로 교육과정을 개발, 적용, 평가해 봄으로써 교육과정 운영 능력을 배양한다.
|
평생교육방법론 |
평생교육에 적절한 교수학습방법과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관련 개념과 원리의 탐구 및 다양한 실제 적용 기법에 대해 탐구한다.
|
평생교육실습 |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실습을 통해 평생교육사가 갖추어야 할 실천적 지식을 함양한다.
|